Write-up/Crypto

[CSAW Quals 2017] BabyCrypt Writeup

MyriaBreak 2018. 9. 14. 10:23

얼마전에 서울하이유스호스텔에서 있었던 HackingCamp 18th에 참여하였었는데요. 그 때 내부 CTF에서 나왔던 Crypto문제(Easy CAESC)가 인상깊어서 비슷한 문제가 없을까 하고 찾던 중에 알게된 문제입니다. CSAW Quals 2017에서 나왔던 BabyCrypt란 문제인데요 ㅎㅎ Baby란 이름이 붙었음에도 350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들고있기에 한번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baby_crypt The cookie is input + flag AES ECB encrypted with the sha256 of the flag as the key.

nc crypto.chal.csaw.io 1578


먼저 문제를 살펴보면 이 baby_crypt가 무엇을 하는지 알려줍니다. cookie를 뱉어내는데, 이것이 input + flag의 형태로 되어있고 AES ECB 모드로 flag의 sha256해시값을 키로하여 암호화되어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AES의 키 값으로 flag의 sha256해시값을 사용했으니까 "AES의 키값을 알아내야하나?"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는데, 설령 키 값을 알아낸다고 해도 단방향 해시값이기 때문에 다시 이를 평문으로 되돌릴수는 없습니다. (물론 키 값을 알아내는 것부터가 안됩니다만 ㅎ)


그럼 어떻게 해야하느냐? 문제에서 암호화해서 주어지는 값! input + flag에서 뒤의 flag값을 취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를 풀기전에 이 문제의 서버는 이미 닫힌지 아~~주 오래되었기 때문에, 저 문제를 풀기위해 문제를 직접 구현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직접 구현하였습니다! 핫ㅋ


#!/usr/bin/env python
from Crypto.Cipher import AES
import hashlib
import sys

flag = open("flag", "r").read().strip()

AES_KEY = hashlib.sha256(flag).hexdigest().decode("hex")[:16]
BLOCK_SIZE  = 16

pad = lambda s: s + (BLOCK_SIZE - len(s) % BLOCK_SIZE) * chr(BLOCK_SIZE - len(s) % BLOCK_SIZE)

def GetCookie(input):
	cipher = AES.new(AES_KEY, AES.MODE_ECB)
	input = pad(input + flag)
	print("Your Cookie is: " + cipher.encrypt(input).encode("hex"))

while(True):
	print("Enter you username (no whitespace) : "),
	sys.stdout.flush()
	input = raw_input()
	GetCookie(input)


이제 위 소스파일을 이용해 문제를 풀어봅시다!


먼저 대부분의 블록암호 문제에서 블록암호 모드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암호문에 대한 공격은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1. 암호모드 특정(Mode Detection: ECB, CBC, CTR 등)
  2. 블록사이즈 구하기(Block size)
  3. 공격 (1~2에 구한 것을 기반으로 하여)


하지만 이 문제에선 이미 1번에 해당하는 암호 모드를 알려주었기 때문에 저희는 2번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이제 이 암호모드에서 사용하는 블록사이즈를 구해야합니다. 여기서 블록사이즈란, 블록암호에서는 데이터를 암호화할때 블록단위로 나누어 암호화를 하게게되는데 이 때 블록을 어느크기만큼 나누어 암호화할지 알려주는 것이 바로 블록사이즈입니다.


그러므로 평문을 암호화하기 위해서는 평문의 길이를 Block_SIZE로 맞추어줄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패딩을 하게 됩니다. AES블록암호화에서는 보통 PKCS#7 패딩방식을 이용하는데, 이 문제에서 패딩이 어떻게 이뤄지는냐는 중요하지않으므로 그림 하나로 설명을 대체하겠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위키피디아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자 이제 블록암호에서 암호화를 할 때 평문크기를 블록크기에 맞게 패딩을 한다는 사실을 알았으니, 문제 소스를 실행하여 한글자씩 문자를 보내봅시다.



abcdefghijklmo를 보냈을 때와 abcdefghijklmop를 보냈을 때 받은 암호문의 길이가 갑자기 증가하게 되고 우리는 이를 통해 Block_SIZE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아래 python코드를 통해 실제 블록크기가 얼마가 되는지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encryption_oracle(plain)함수가 평문에 대한 암호문을 받아오는 함수입니다.)


def find_block_size(encryption_oracle):
	pre_cp = encryption_oracle("")
	p = "A"
	while(True):
		cp = encryption_oracle(p)
		size = len(cp)-len(pre_cp)
		if size != 0:
			return size
		p+="A"



Block_SIZE : 16


자 이제 블록크기를 구했으니, 실제 공격만 하면 됩니다. 하지만 그 전에 ECB모드가 어떻게 동작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CB Mode

  • 가장 단순한 모드로 평문을 블록단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암호화 하는 구조
  • 같은 평문 -> 같은 암호문



암호화과정은 위와 같습니다. 여기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ECB모드는 동일 평문이 항상 동일 암호문으로 암호화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대부분이 사람들이 ECB모드를 설명할 때 나오는 펭귄 사진을 가져와보도록하겠습니다.



이렇게 ECB Mode로 암호화할 경우, 평문이 항상 같은 암호문으로 1:1 대칭되기때문에 그림의 윤곽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이 ECB Mode의 특성을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암호화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집니다.


저희가 username을 입력하면 그 값뒤에 FLAG가 붙어 암호화되는 방식입니다. 즉, 최종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암호화 오라클에 들어가게됩니다.



예를 들어 FLAG의 길이가 20이고, username으로 "AAAA..."로 10글자가 들어갔다면 블록사이즈인 16에 맞춰줘야하기때문에 PADDING이 2개붙어서 data가 들어가게 되고 암호화되어 출력되게됩니다.



여기서 저희가 제어할 수 있는 부분은 username부분입니다. data : 16bytes(1) | 16bytes(2) | 16 bytes(3)


여기서 저희가 Block_SIZE인 16보다 작은 15바이트를 "AAAAAAAAAAAAAAA"로 입력하게 된다면 FLAG의 마지막 한바이트를 가져올 수 있게 되고, 저희는 (1)블록의 처음 15바이트를 알고있으므로 (1)블록의 16번째 바이트에 대하여 255가지 암호문을 만들어 비교함으로써 마지막 한바이트를 알 수 있습니다.


계획은 이제 아래와 같습니다.


  1. 블록크기보다 1바이트 작은 입력블록을 만든다.

(예: 블록크기가 8인 경우 "AAAAAAA"로 지정).

  1. 마지막 바이트를 바꿔가며 마지막 바이트에 대한 블록암호의 사전을 만든다.

(예: “AAAAAAAA”, “AAAAAAAB”, “AAAAAAAC” 의 암호문 블록 사전)



  1. 1번에서 만든 입력블록(1바이트작은)을 input_str에 넣어 나온 암호문을 사전에서 찾는다. 이게 FLAG의 첫 번째 바이트

  1. 위 과정을 반복하여 FLAG의 바이트를 하나씩 찾는다.


#!/usr/bin/env python
from pwn import *
import string

conn = process(["python", "BabyCrypto.py"])

def encryption_oracle(plain):
	conn.recvuntil("Enter you username (no whitespace) : ")
	conn.sendline(plain)
	conn.recvuntil("Your Cookie is: ")
	enc = conn.recvline().strip()
	return enc.decode("hex")

def find_block_size(encryption_oracle):
	pre_cp = encryption_oracle("")
	p = "A"
	while(True):
		cp = encryption_oracle(p)
		size = len(cp)-len(pre_cp)
		if size != 0:
			return size
		p+="A"

def get_next_byte(encryption_oracle, known_suffix, block_size):
	dic = {}
	feed = "\x00"*(block_size-1-(len(known_suffix)%block_size))

	pt = ''
	#for i in range(0,256):
	for i in range(0x20,0x80):
		pt += feed + known_suffix + chr(i)
	ct = encryption_oracle(pt)[:len(pt)]
	for i in range(0x20,0x80):
		idx = (i-0x20)*(len(feed + known_suffix)+1)
		ct_one = ct[idx:idx+len(feed + known_suffix)+1]
		dic[ct_one]=chr(i)

	ct = encryption_oracle(feed)[:len(feed + known_suffix)+1]
	if ct in dic:
		return dic[ct]
	else:
		return ""

BLOCK_SIZE = find_block_size(encryption_oracle)
secret = ""

print("BLOCK_SIZE : %d "  %  BLOCK_SIZE)

while(True):
	one_byte = get_next_byte(encryption_oracle, secret, BLOCK_SIZE)
	if one_byte == "":
		break
	secret += one_byte
	print(secret)
print("result : "+secret)


서버가 이미 닫혔으므로, python pwntools를 사용하여 로컬에서 공격하는 코드이다. 위 파이썬 익스코드를 실행하면 로컬환경에 있는 flag를 획득할 수 있다.



*후기

한번 풀었던 유형의 문제였지만, Writeup을 써보고, 다시 한번 정리해보고 싶어서 작성해보았다. 문제는 AES-ECB모드에 대한 이해와 BLOCK_SIZE로 암호화되는 블록암호의 특성을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기때문에 블록암호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면 풀어보면 좋은 문제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