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AW Quals 2017] BabyCrypt Writeup
얼마전에 서울하이유스호스텔에서 있었던 HackingCamp 18th
에 참여하였었는데요. 그 때 내부 CTF에서 나왔던 Crypto
문제(Easy CAESC)가 인상깊어서 비슷한 문제가 없을까 하고 찾던 중에 알게된 문제입니다. CSAW Quals 2017
에서 나왔던 BabyCrypt
란 문제인데요 ㅎㅎ Baby란 이름이 붙었음에도 350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들고있기에 한번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baby_crypt The cookie is input + flag AES ECB encrypted with the sha256 of the flag as the key.
nc crypto.chal.csaw.io 1578
먼저 문제를 살펴보면 이 baby_crypt가 무엇을 하는지 알려줍니다. cookie를 뱉어내는데, 이것이 input + flag
의 형태로 되어있고 AES ECB
모드로 flag의 sha256해시값을 키로하여 암호화되어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AES의 키 값으로 flag의 sha256해시값을 사용했으니까 "AES의 키값을 알아내야하나?"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는데, 설령 키 값을 알아낸다고 해도 단방향 해시값이기 때문에 다시 이를 평문으로 되돌릴수는 없습니다. (물론 키 값을 알아내는 것부터가 안됩니다만 ㅎ)
그럼 어떻게 해야하느냐? 문제에서 암호화해서 주어지는 값! input + flag
에서 뒤의 flag값을 취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를 풀기전에 이 문제의 서버는 이미 닫힌지 아~~주 오래되었기 때문에, 저 문제를 풀기위해 문제를 직접 구현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직접 구현하였습니다! 핫ㅋ
#!/usr/bin/env python
from Crypto.Cipher import AES
import hashlib
import sys
flag = open("flag", "r").read().strip()
AES_KEY = hashlib.sha256(flag).hexdigest().decode("hex")[:16]
BLOCK_SIZE = 16
pad = lambda s: s + (BLOCK_SIZE - len(s) % BLOCK_SIZE) * chr(BLOCK_SIZE - len(s) % BLOCK_SIZE)
def GetCookie(input):
cipher = AES.new(AES_KEY, AES.MODE_ECB)
input = pad(input + flag)
print("Your Cookie is: " + cipher.encrypt(input).encode("hex"))
while(True):
print("Enter you username (no whitespace) : "),
sys.stdout.flush()
input = raw_input()
GetCookie(input)
이제 위 소스파일을 이용해 문제를 풀어봅시다!
먼저 대부분의 블록암호 문제에서 블록암호 모드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암호문에 대한 공격은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 암호모드 특정(Mode Detection: ECB, CBC, CTR 등)
- 블록사이즈 구하기(Block size)
- 공격 (1~2에 구한 것을 기반으로 하여)
하지만 이 문제에선 이미 1번에 해당하는 암호 모드를 알려주었기 때문에 저희는 2번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이제 이 암호모드에서 사용하는 블록사이즈를 구해야합니다. 여기서 블록사이즈란, 블록암호에서는 데이터를 암호화할때 블록단위로 나누어 암호화를 하게게되는데 이 때 블록을 어느크기만큼 나누어 암호화할지 알려주는 것이 바로 블록사이즈입니다.
그러므로 평문을 암호화하기 위해서는 평문의 길이를 Block_SIZE
로 맞추어줄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패딩을 하게 됩니다. AES블록암호화에서는 보통 PKCS#7
패딩방식을 이용하는데, 이 문제에서 패딩이 어떻게 이뤄지는냐는 중요하지않으므로 그림 하나로 설명을 대체하겠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위키피디아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자 이제 블록암호에서 암호화를 할 때 평문크기를 블록크기에 맞게 패딩을 한다는 사실을 알았으니, 문제 소스를 실행하여 한글자씩 문자를 보내봅시다.
abcdefghijklmo
를 보냈을 때와 abcdefghijklmop
를 보냈을 때 받은 암호문의 길이가 갑자기 증가하게 되고 우리는 이를 통해 Block_SIZE
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아래 python
코드를 통해 실제 블록크기가 얼마가 되는지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encryption_oracle(plain)함수가 평문에 대한 암호문을 받아오는 함수입니다.)
def find_block_size(encryption_oracle):
pre_cp = encryption_oracle("")
p = "A"
while(True):
cp = encryption_oracle(p)
size = len(cp)-len(pre_cp)
if size != 0:
return size
p+="A"
Block_SIZE : 16
자 이제 블록크기를 구했으니, 실제 공격만 하면 됩니다. 하지만 그 전에 ECB모드
가 어떻게 동작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CB Mode
- 가장 단순한 모드로 평문을 블록단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암호화 하는 구조
- 같은 평문 -> 같은 암호문
암호화과정은 위와 같습니다. 여기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ECB모드는 동일 평문이 항상 동일 암호문으로 암호화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 대부분이 사람들이 ECB모드를 설명할 때 나오는 펭귄 사진을 가져와보도록하겠습니다.
이렇게 ECB Mode
로 암호화할 경우, 평문이 항상 같은 암호문으로 1:1 대칭되기때문에 그림의 윤곽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이 ECB Mode
의 특성을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암호화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집니다.
저희가 username
을 입력하면 그 값뒤에 FLAG가 붙어 암호화되는 방식입니다. 즉, 최종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암호화 오라클에 들어가게됩니다.
예를 들어 FLAG
의 길이가 20이고, username
으로 "AAAA..."로 10글자가 들어갔다면 블록사이즈인 16에 맞춰줘야하기때문에 PADDING
이 2개붙어서 data가 들어가게 되고 암호화되어 출력되게됩니다.
여기서 저희가 제어할 수 있는 부분은 username
부분입니다. data : 16bytes(1) | 16bytes(2) | 16 bytes(3)
여기서 저희가 Block_SIZE
인 16보다 작은 15바이트를 "AAAAAAAAAAAAAAA"로 입력하게 된다면 FLAG
의 마지막 한바이트를 가져올 수 있게 되고, 저희는 (1)블록의 처음 15바이트를 알고있으므로 (1)블록의 16번째 바이트에 대하여 255가지 암호문을 만들어 비교함으로써 마지막 한바이트를 알 수 있습니다.
계획은 이제 아래와 같습니다.
- 블록크기보다 1바이트 작은 입력블록을 만든다.
(예: 블록크기가 8인 경우 "AAAAAAA"로 지정).
- 마지막 바이트를 바꿔가며 마지막 바이트에 대한 블록암호의 사전을 만든다.
(예: “AAAAAAAA”, “AAAAAAAB”, “AAAAAAAC” 의 암호문 블록 사전)
- 1번에서 만든 입력블록(1바이트작은)을 input_str에 넣어 나온 암호문을 사전에서 찾는다. 이게
FLAG
의 첫 번째 바이트
- 위 과정을 반복하여
FLAG
의 바이트를 하나씩 찾는다.
#!/usr/bin/env python
from pwn import *
import string
conn = process(["python", "BabyCrypto.py"])
def encryption_oracle(plain):
conn.recvuntil("Enter you username (no whitespace) : ")
conn.sendline(plain)
conn.recvuntil("Your Cookie is: ")
enc = conn.recvline().strip()
return enc.decode("hex")
def find_block_size(encryption_oracle):
pre_cp = encryption_oracle("")
p = "A"
while(True):
cp = encryption_oracle(p)
size = len(cp)-len(pre_cp)
if size != 0:
return size
p+="A"
def get_next_byte(encryption_oracle, known_suffix, block_size):
dic = {}
feed = "\x00"*(block_size-1-(len(known_suffix)%block_size))
pt = ''
#for i in range(0,256):
for i in range(0x20,0x80):
pt += feed + known_suffix + chr(i)
ct = encryption_oracle(pt)[:len(pt)]
for i in range(0x20,0x80):
idx = (i-0x20)*(len(feed + known_suffix)+1)
ct_one = ct[idx:idx+len(feed + known_suffix)+1]
dic[ct_one]=chr(i)
ct = encryption_oracle(feed)[:len(feed + known_suffix)+1]
if ct in dic:
return dic[ct]
else:
return ""
BLOCK_SIZE = find_block_size(encryption_oracle)
secret = ""
print("BLOCK_SIZE : %d " % BLOCK_SIZE)
while(True):
one_byte = get_next_byte(encryption_oracle, secret, BLOCK_SIZE)
if one_byte == "":
break
secret += one_byte
print(secret)
print("result : "+secret)
서버가 이미 닫혔으므로, python pwntools를 사용하여 로컬에서 공격하는 코드이다. 위 파이썬 익스코드를 실행하면 로컬환경에 있는 flag를 획득할 수 있다.
*후기
한번 풀었던 유형의 문제였지만, Writeup을 써보고, 다시 한번 정리해보고 싶어서 작성해보았다. 문제는 AES-ECB모드에 대한 이해와 BLOCK_SIZE로 암호화되는 블록암호의 특성을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기때문에 블록암호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면 풀어보면 좋은 문제라고 생각한다.
'Write-up > Cryp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syCTF] Diffie-Cult (디피-헬만 문제) (0) | 2018.11.26 |
---|---|
[RITSEC2018] DarkPearAI (0) | 2018.11.19 |
[hackcon18] Ron, Adi and Leonard (Wiener Attack) (0) | 2018.08.18 |
[ISITDTU 2018] XOR Write-up (0) | 2018.07.30 |
[ISITDTU 2018] Simple RSA Write-up (0) | 2018.07.30 |